Page 60 - 2022 특별한서재 도서목록
P. 60

을 위한 공간으로 비밀스러운 저택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었죠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이 들어 있을 것 같아요. 그래도 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임 없이 현재의 문을 선택할 수 있
              기댈 곳 없는 외로운 아이들이 자신만을 위한 선택을 고민하던 처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니, 난 지금 행복하구나 하는 생각이
           과 달리, 점점 서로를 위해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옳은지 고민하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드네요.
           되는 변화가 참 인상적이었어요. 작가님께서는 이런 아이들의 변화
           를 통해 무엇을 말씀하고 싶으셨나요?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『시간을 건너는 집』을 읽는 청소년 독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
              사실 그 부분이 너무 작위적이지 않나 고민이 많았어요. 아이들이 함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면요?
           께한 시간은 고작 다섯 달밖에 안 되니까요. 그런데 아이들은 어른보
           다 훨씬 빨리 친해지잖아요. 그 바탕에는 아이들만의 순수함이 깔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간은 눈 깜짝할 사이에 흘러갑니다.
           있다고 생각합니다. 사람 때문에 받는 상처도 많지만, 우리는 또 사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올해가 어느새 오십 일도 안 남은 것
           때문에 힘을 얻고 살아가요. 손을 내밀어주는 사람은 가족일 수도, 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처럼요. 인생은 생각보다 짧은데, 자
           구일 수도, 선생님일 수도 있지요. 도저히 해결할 수 없을 것 같은 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이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은 거의 없어요. 내가 좋
           은 적극적으로 도움을 청할 수 있기를, 또 자신이 도움을 주는 사람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하는 것이 무엇인지, 어떤 일을 할 때 가슴이 뛰는지 자신을 끊임
          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봤으면 해요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없이 살펴보세요. 여러분이 정말 사랑하는 일을 하며 살아갈 수 있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록요.
              이수가 가진 트라우마나, 자영이가 당하는 학교 폭력은 사실 아이들
           이 혼자 힘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지요. 그렇기 때문에 어른들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앞으로는 어떤 작가가 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. 혹시 계획이 있으신
          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,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어떤 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, 또는 어떤 메시지를 전하는 작가가 되고 싶으신지 말씀해주세요.
           른이 되어주어야 할까요? 작가님께서 생각하시는 ‘어른의 역할’이 궁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거창한 주제를 전하고 싶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어요. 작품
           금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속에서 주제나 메시지를 찾는 건 독자의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. 저
              제 작품 중에 『똥 학교는 싫어요!』라는 책이 있는데요. ‘대변초등학교’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단지 재미있고 가독성이 좋은 작품을 쓰려고 노력해요. 내 라이벌
           라는 이름 때문에  놀림 받던 학교 아이들이 교명을 변경한 실제 이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다른 유명 작가가 아니라 유튜브와 게임, 텔레비전이라고 생각하
           기를 바탕으로 쓴 책이에요. 아이들도 직접 서명 운동을 받는 등 많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며 글을 씁니다. ‘넷플릭스보다는 이 책을 마저 읽어야겠어.’라고 독자
           노력을 했지만 선생님, 동창회 어르신들, 마을 주민들도 아이들을 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생각해주면 대성공이죠. 내년에는 동화 한 편과 청소년 소설 한 편
           해 발로 뛰었어요. 어른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교명 변경은 절대로 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계획하고 있어요. 이렇게 지면으로 밝혀야 게으름 부리는 일이 없
           가능했을 일이지요. 그 이야기를 취재하며 어른의 역할에 대해 많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겠죠?
           생각을 했어요. 곤란에 빠진 아이들에게 손을 내밀어주고, 문제를 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_예스24 채널예스 7문7답 인터뷰
           스로 해결할 수 있는 지혜도 주는 어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

              작가의 창작노트에서 “어느 날 하얀 운동화를 받더라도 망설임 없이
           ‘현재의 문’을 선택할 수 있기를. 그만큼 당신의 삶이 늘 행복하면 좋
           겠다.”라는 따뜻한 말씀을 남기셨어요. 만일 작가님은 ‘시간의 집’에
           가게 된다면, 세 개의 문 중 어느 것을 택하고 싶으세요?

              마음 같아서는 소망 노트에 ‘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어 있게 해주세요.’
           라고 쓰고 미래의 문을 열고 싶지만, ‘합당한’ 소망이 아니라 들어주
           지 않겠지요? 그러니 저는 현재의 문을 선택하겠습니다. 과거로 가자
           니 다시 육아를 시작해야 해서 힘들 것 같고, 미래로 가자니 제가 너무
     6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
   55   56   57   58   59   60   61   62   63   64